갤럭시 특가
 
설맞이 빅세일
 
기프티콘 할인전
 

만족함 없는 인생에서 ‘진정한 만족’을 찾는 법

노자는 도덕경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죄악 중에서 탐욕보다 더 큰 죄악은 없고, 재앙 중에서도 만족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으며, 허물 중에서도 욕망을 다 채우려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은 없다.’

죄악이라는 게 무엇인가? 분수에 지나친 욕망인 탐욕에서 온다. 그래서 경전에서는 탐욕이 생사의 근본이라는 것이다. 탐욕은 자기 분수 밖의 욕심이다.

노자는 뒤이어 말한다. ‘따라서 넉넉할 줄 알면 항상 풍족하다.’ 결국은 만족하면서 살라는 것이다.

만족함 없는 인생에서 ‘진정한 만족’을 찾는 법

이 세상에서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어떤 어려운 일도, 어떤 즐거운 일도 영원하지 않다. 모두 한때이다. 한 생애를 통해서 어려움만 지속된다면 누가 감내하겠는가? 다 도중에 하차하고 말 것이다. 모든 것이 한때이다. 좋은 일도 그렇다. 좋은 일도 늘 지속되지 않는다. 그러면 사람이 오만해진다. 어려운 때일수록 낙천적인 인생관을 가져야 한다. 덜 가지고도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전에는 무심히 관심 갖지 않던 인간관계도 더욱 살뜰히 챙겨야 한다. 더 검소하고 작은 것으로써 기쁨을 느껴야 한다.

우리 인생에서 참으로 소중한 것은 어떤 사회적인 지위나 신분, 소유물이 아니다. 우리들 자신이 누가인가를 아는 일이다.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어야 한다. 이런 어려운 시기를 당했을 때 도대체 나는 누구지,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어야 한다. 우리가 지니고 있는 직위나 돈이나 재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써 우리가 어떤 일을 하며 어떻게 살고 있는가에 따라서 삶의 가치가 결정된다.

우리가 만족할 줄 모르고 마음이 불안하다면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마음이 불안하고 늘 갈등상태에서 만족할 줄 모른다면 그것은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다. 우리는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의 한 부분이다.

저마다 독립된 개체가 아니다. 전체의 한 부분이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세상의 한 부분이다. 세상이란 말과 사회란 말은 추상적인 용어이다. 구체적으로 살고 있는 개개인이 구체적인 사회이고 현실이다. 우리는 보이든 보이지 않든, 혈연이든 혈연이 아니든 관계 속에서 서로 얽히고 설켜서 이루어졌다. 그것이 우리의 존재이다.

참고: 《산에는 꽃이 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