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특가
 
설맞이 빅세일
 
기프티콘 할인전
 
close

“바로 비닐로 싸세요” – 청소기에 그냥 먼지 붙은줄 알았는데 사실은 전혀 아니었던 하얀 가루의 끔찍한 정체

혹시 집에서 어떤 청소기 쓰시나요?

요즘에는 편의성때문에 유선 청소기보다는 보통 무선청소기를 많이 쓰시는데요.

흡입력도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져서 이제 유선못지 않은 청소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삼성과 LG 제품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무선청소기 겉에 자꾸 먼지가 붙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이게.. 먼지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가루응애?

최근 인터넷에 LG와 삼성 무선청소기를 쓰는 사용자들로부터 이런 사진이 제보되었습니다.

“바로 비닐로 싸세요” – 청소기에 그냥 먼지 붙은줄 알았는데 사실은 전혀 아니었던 하얀 가루의 끔찍한 정체

언뜻보기에 그냥 하얀색 먼지가 붙은 것 같아 보입니다.

특히 삼성 무선청소기중 ‘청정스테이션’에서 이러한 제보가 많았는데요.

이 하얀 가루들이 보이시나요?

이 하얀가루들의 정체는 바로 ‘벌레’였습니다.

이름은 바로 ‘가루응애’라고 하는 다소 귀여운(?) 이름의 벌레인데요.

이 가루응애는 ‘곡물응애’라고도 불리우는 해충입니다.

몸길이가 약 0.5mm내외인, 정말 작은 벌레고 진드기의 일종이라고 하는데요.

원래는 주로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발생하지만, 요즘 같이 춥고 건조한 겨울이라고 해도 집에 난방+가습기를 돌려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집이라면 말도 안 될 정도로 창궐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번신력이 대단하다는 것은 위 사진만 봐도 알 수가 있겠죠?

원래 가루응애는 곡식을 주로 먹는 벌레인데, 청소 과정에서 청소기에 들어가고 청소기가 덥고 습한 환경으로 유지되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독 삼성의 ‘청정스테이션’의 제품에서 많은 제보가 있었던 것을 보면 해당 제품이 최고의 생육환경(?)을 제공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일단 저런 상황일 때 대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루응애 대응방법

삼성전자

    가루응애가 번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소기 내 ‘먼지봉투’를 폐기
    제품 전체를 대형 비닐에 넣어 밀폐, 퍼지는 것을 막음
    15일동안 밀폐를 유지해가며 5일 간격으로 먼지봉투를 교체
    위 방법으로 제거되지 않을 시 삼성 서비스센터에 연락해서 세척조치를 받음
    삼성전자 측에서는 집 주변, 혹은 집 내에 가루응애 발생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 원인이 제거되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LG전자

    먼지비움 기능 3회 실행
    기존 먼지봉투 폐기
    제품내부의 프리필터와 배기필터를 분리해 세척
    먼지봉투 설치부 주변과 제품을 소독용 티슈로 깨끗하게 닦음
    위 소독과정 후 먼지봉투 새것으로 교체
    필터 모두 장착 후 사용
    만약 위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센터로 접수해 세척조치 받음

가루응애는 엄청나게 무서운 해충은 아니지만 요즘은 대개 무선청소기를 거실에 두고 쓰는 경우가 많아, 그냥 놔둘 경우에는 집안 곳곳으로 퍼질 수도 있습니다.

오늘 바로 무선청소기 한번 확인해보시고, 만약 사용 중에 위 사진과 같은 하얀 가루가 생긴다면 가루응애를 의심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철이라 벌레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요즘에는 난방과 습도유지가 잘되는 집이 많아 오히려 벌레가 쉽게 겨울을 난다고 합니다.

꼭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