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특가
 
설맞이 빅세일
 
기프티콘 할인전
 
close

이 시대는 ‘풍요로운 감옥’과도 같다

미국의 철학자 마르쿠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풍요로운 감옥에 비유하고 있다. 감옥 속에 냉장고와 세탁기가 갖춰져 있고 텔레비전 수상기와 오디오가 놓여 있다.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은 자신이 그 감옥에 갇혀 있다는 사실조차 까맣게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풍요로운 감옥에서 벗어나려면 어떤 것이 진정한 인간이고, 사람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며, 또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근원적인 물음 앞에 마주 서야 한다. 그런 물음과 대면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인간의 삶이라고 할 수 없다. 항상 자신의 삶이 어디로 가고 있고, 무엇을 향해 가고 있는가 물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시대는 ‘풍요로운 감옥’과도 같다

사람은 무엇보다도 사람답게 떳떳하게 살아야 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기 위해선 첫째, 자기 자신에 대한 각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자기 자신의 각성, 자기 존재에 대한 각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 각성을 통해서 비로소 마음이 열린다.

마음이 열리지 않으면 이미 열려 있는 세상을 내가 받아들일 수 없다. 다시 말해 세상과 내가 하나를 이룰 수 없다. 세상과 내가 하나를 이루지 못하면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는 것이 아니다. 세상이라는 파도 위에서 겉도는 것에 불과하다. 마음이 열려야만 세상과 내가 하나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기 바란다. 마음이 열려야만 평온과 안정을 이룰 수 있다.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어야 한다. 나는 누구인가?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또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들어 있다. 그러나 묻지 않고는 그 해답을 이끌어낼 수 없다. 나는 누구인가? 거듭거듭 물어야 한다.

모든 것은 세월의 풍상에 씻겨 시들고 허물어져 간다. 거죽은 늘 변하기 마련이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불교 용어로는 ‘무상하다’는 말이 있다. 모든 것은 무상하고 덧없다. 항상하지 않고 영원하지 않다. 늘 변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실상이다.

만일 이 세상이 잔뜩 굳어 있어서 변함이 없다면 숨이 막힐 것이다. 변하기 때문에 환자가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것이고, 가난한 사람이 부자로 살 수도 있는 것이고, 오만한 사람이 겸손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어두운 면이 밝아질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변해 가느냐에 달려 있다. 자신의 중심을 들여다봐야 한다. 중심은 늘 새롭다. 거죽에 살지 않고 중심에 사는 사람은 어떤 세월 속에서도 좌절하거나 허물어지지 않는다. 나는 누구인가? 이 원초적인 물음을 통해서 늘 중심에 머물러야 한다.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각성을 추구해야 한다.